2020년 12월 11일 부터 12월 31일 까지 갤러리 내일에서 유 벅 작가의 초대전이 열립니다.
올 해 마지막 전시로 특별한 전시를 기획하고 구성했는데요 이번 전시에서는
설치작업과 골판지를 이용한 회화작업을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From December 11th to 31st, 2020, Gallery Naeil will conduct Yu Buck's invitational exhibition.
As the last exhibition of the year, a special exhibition has been planned and organized.
One can see the installation and painting work that has used corrugated cardboard.
도자기 2020, variable dimension, 벌레, 도자
Ceramic, Variable Dimension, Ceramics, 2020
중랑촌 능골교 영상 프로젝트 2017, 1100x700cm, Video Projector
Jungnangchon Neunggol Bridge Video Project, 1100x700cm, Video Projector, 2017
순환 120x89cm, c-print on canvas, 2020, edition 1/5 1000만원
Circulation, 120x89cm, C-print on Canvas, 2020, Edition 1/5 10 million won
강원도 정선군에 위치한 삼탄아트마인이란 옛 연탄 제조회사의 광부 샤워실의 현장에 설치한 작품으로 천정에 있는 샤워기 물구멍에 링겔 튜브를 설치하고 여인 조각상에 주사바늘을 꽂아 물의 흐름을 통해 생명의 의미를 투여하고 바닥에는 수백개의 계란을 설치하여 죽어 있는 여인의 조각형태를 이용하여 반대로 살아있는 생명의 탄생을 얘기하고자했다.
Circulation is installed in Samtan Art Mine, located in Jeongseon-gun, Gangwon-do. The work is site-specific, situated in an old briquette manufacturing company’s miners’ shower room. A tube has been installed in the shower piping on the ceiling, and a needle has been inserted into the statue of a woman, so as to express the meaning of life via the flow of water. The installation of hundreds of eggs on the floor, in conjunction with the sculpture of a dead, suspended woman, speaks to the birth of a new life.
양 2020, 발레, 플라스틱, 정착액, 120
Sheep 2020, Plastic & Fixative, 120
Detail
상품박스를 이용한 이중적 이미지
상품박스를 이용한 작업은 자본사회의 대량 생산에 의한 소비의 추구를 통하여 자본의 보이지 않는 권력을 통한 쾌락과 또한 외면적으로 보이는 긍정의 논리에 대해 나는 상품박스의 재료를 통해 인간의 이중성을 얘기한다.
먼저 방법론에서는 재료의 박스지를 자세히 살펴보면 2가지의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평평한 면과 안에 포물선과 같은 형태로 다른면을 가지고 있는데 이러한 재료의 형태를 통해 내가 표현하고자 하는 인간의 이중성에 대해 연관되어 있는 여러 가지 방법( 조각도를 이용한 파기,뜯기,올리기,사진과의 매치 등)으로 작업을 시도하고 있는데 이런 방법은 관객이 보는 각도에 따라 화면의 형태가 다르게 보이게 할 수가 있어 다양한 시각을 보여줄 수 있다.
자본사회의 상품은 우리의 물질 욕구를 충족시키지만 그 반대로 다른 것들이 상실되어 가고 있다 물질의 추구로 인한 인간성이 상실된 사회는 계속 나로 하여금 자연 외관의 배후에 담겨있는 기본적 질서와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표현으로서 동양과 서양의 매치, 인간과 자연의 합일에 대한 기원으로 나의 작업을 지향하고 있으며 계속 작업이 정진 할수 있도록 해주고 있다.
작가노트
The Double Image of the Product Box
Artist’s Note
This piece, centered in the product box, considers the pursuits of consumption and mass production in capital society. It reflects on the notion of pleasure, as conferred by the invisible power of capital and the ostensible logic of positivity. The materiality of the product box speaks to human duality.
On looking closely at the box-paper material, the composition consisting of two forms becomes visible. The box has an outwardly flat surface. However, on the inside, there exists a different surface, in the form of a parabola. As exercised through these material forms, my methodology ties into the duality of human beings in multiple manners, including digging, tearing, uploading, matching, and more. These methods alter the look of the piece, which changes depending on the viewing angle of the audience, hence revealing a variety of perspectives.
While the ‘commodity’ in capital society satisfies our material needs, we lose other facets of life. My work is oriented towards the meeting point of the East and West, as well as the unity of humans and nature. These conceptual constructions drive my practice forward.
얼굴 35x46 cardboard on panel 2020, 300만원
Face, 35x46, Cardboard on Panel, 2020, KRW 3 million
화분 28x35 cardboard on panel 2020, 200만원
Flowerpot, 28x35, Cardboard on Panel 2020, KRW 2 million
컵 29x36 cardboard on panel 2020, 200만원
Cup, 29x36, Cardboard on Panel, 2020, KRW 2 million
종려나무 40x50 cardboard on panel 2019, 300만원
Palm Tree, 40x50, Cardboard on Panel, 2019, KRW 3 million
나무 40x33 cardboard on panel 2018, 200만원
Wood, 40x33, Cardboard on Panel, 2018, KRW 2 million
껍데기, 또는 이미지의 이중성
유벅의 세계
때로 우리의 눈을 미혹하는 이미지들은 알고 보면 사소한 것들이 모여서 이루는 환영이다. 사람들은 대체로 겉모습만을 보려 하고 자신이 보고 싶은 것만을 보려 한다. 그럴 때 우리가 보게 되는 것은 사물들의 껍데기이다. 세워진 것, 서 있는 것들을 안쪽에서 떠받치고 있거나, 이른바 ‘빅 픽처(Big Picture)’, 즉 큰 그림을 구성하는 작디작은 망점(point)들은 때로는 사소하고 보잘것없는 것들로 이루어져 있다. 하루살이를 비롯하여 사람의 눈에는 순간을 살다가 덧없이 사라지거나 인간에게 해를 끼치기 위해 생겨난 것처럼 보이는 각종의 해충들도 이 세상에 나온 나름의 이치가 있을 것이다. 짧고 사소하다거나 해롭다는 것은 어디까지나 인간을 기준으로 한 판단이다. 지구상에서 인간은 모든 것의 중심을 자처한다. 문명은 인간이 모든 것의 중심이 되어가는 과정이었다. 그러나 문명의 기둥을 떠받치고 있는 것은 하루살이처럼 덧없이 사라져간 작은 존재들의 영혼이 모여서 이루어진 것은 아닌가.
불빛을 보고 날아든 벌레들이 찐득한 유인액에 들러붙어 성상의 그림자를 빚어낸다. 덧없이 스러져가는 날벌레들의 사멸이 구원을 약속하는 구세주의 이미지로 부활한다. 미물들의 사체가 만드는 구원의 아이콘에는 죽음에의 유혹이라는 폭력성이 감춰져 있다. 이미지에 담긴 의미는 작은 해충들의 의지와는 무관하다. 그것이 작품에서 이루는 구원자의 이미지는 작가가 종이에 끈끈이 액을 발라놓을 때부터 치밀하게 계산된 작가의 의지이다. 작가의 의지와 벌레의 본능이 만나는 곳에서 가시면류관을 쓴 그리스도의 얼굴이 나타난다. 작은 주검들이 이루는 구원자의 이미지가 만들어지는 과정은 이미지가 함유한 의미와는 이율배반적이다. 유벅 작가에게 이러한 이미지는 세계를 뒤덮고 있는 껍데기로서의 이미지의 이중성을 함축한다.
향광성(向光性) 벌레들은 불빛을 보고 창에 날아들다가 허공에 쳐진 망사창의 덫에 걸려 그대로 풍경(landscape)이 된다. 날벌레들은 빛을 향하여 나아가는 본능에 따라 희생된다. 벌레들을 유혹한 빛은 그들의 주검으로 그들이 들어오려고 했던 빛의 문을 멀리 보이는 산의 능선을 투영하는 풍경으로 바꾼다. 빛나는 빛은 생명체들이었던 벌레들에게는 죽음의 덫이다. 이미지라는 말의 어원인 ‘이마고(Imago)’는 고대에 죽은 이의 얼굴을 밀랍으로 떠서 장례식에서 영정처럼 쓰던 것이었다. 그것은 죽은 자를 대신하기 위해 만들어진 죽은 자의 형상이었다. 이처럼 이미지는 대리물이자 매개체였다. 유벅의 작업에서 벌레들의 사체는 매개체를 통하지 않고 이미지 자체가 됨으로써 죽음이 곧 사멸의 기호가 된다. 빛은 생명을 약속하는 이미지이다. 그러나 여기에서 벌레들에게 빛은 죽음의 덫이다. 이 작은 존재들은 빛을 보고 달려들었다가 이미지의 덫에 걸려들었다. 이들에게 빛은 삶의 길이자 곧 죽음의 길이다. 삶은 죽음을 통하여 완성된다. 그리하여 빛은 이미지의 덫이 된다. 이들이 만든 이미지가 자신의 희생으로 세상을 구원하는 구세주의 모습인 것은 우연이 아니다. 이 또한 작가에게는 이미지의 모순을 드러내는 이중적인 장치로 쓰이고 있다.
이미지는 곧 죽음이다. 그럼으로써 이미지가 지시하는 것은 원본이다. 보드리야르가 현대성의 특징으로 지적한 이미지가 곧 원본이 되는 지점에서 이러한 이미지들은 자체적인 위상을 가진다. 그것은 유벅의 작업에서 죽은 벌레들이 다른 추상적인 죽음을 지시하는 기호가 아니라 그들 자신의 죽음을 지시하는 기호이자 이미지라는 점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그들의 죽음은 동시에 또 다른 죽음의 기호가 된다. 그것은 자신의 죽음뿐만 아니라 사각형 창틀 안에서의 풍경의 죽음을 지시하기도 한다. 자신과 동시적인 죽음이 풍경으로서의 ‘빅 픽처‘ 안에서 발생한다. 풍경이 죽은 것은 그것이 인간의 눈에 맞게 재단된 경치이기 때문이다. 자연에서 잘려 나온 그것은 죽어서 인간의 미의식 속에서만 산다. 작가 유벅이 보여주고자 하는 것은 인간이 가진 이러한 잠재적인 폭력성, 또는 허위의식으로서의 미의식이다. 데미안 허스트는 죽어가는 나비들을 작품에 이용하여 생명윤리에 대한 논란을 부추겼다. 작가 유벅 역시 똑같은 딜레마에 봉착할 수 있음에도 오히려 이러한 이율배반적 수단을 적극적으로 구사함으로써 인간이 아름다움이라는 핑계로 은폐하고 있는 폭력성과 이중성을 노골적으로 드러낸다.
근대에 이르기까지 서구미술사로 대표되는 미술사는 평면에 감쪽같은 시각적 껍데기를 완성하는 것이었다. 그것은 눈속임의 역사이다. 그것을 이루는 것은 어쨌든 물감의 덩어리일 뿐이다. 어떤 물감은 특별한 종의 곤충 껍질을 짓이겨 만들기도 한다. 애초부터 미의식의 진화를 다루는 미술사는 완벽에 가까운 시각적 껍데기에 도달하기 위한 역사였을지도 모른다.
약육강식의 세계에서 스스로 먹는 쪽이 되거나 최소한 먹히지 않기 위해 사람들은 위협적인 껍데기로 무장한다. 사회적으로 문신(Tatoo)은 어느 정도 타부인 까닭에 자기 몸에 그것을 시술받는 사람들은 대개 평소에는 옷으로 가려지는 몸의 한정된 부위를 택한다. 이처럼 밖으로 드러내는 타투의 범위는 비교적 제한적이다. 그러나 옷으로 감추어지는 부위에는 은밀하고도 반항적이거나 자기 과시적인 그림을 과감하게 새겨넣음으로써 자신을 또 다른 알터 에고(alter ego)로 위장한다. 그렇게 옷 속에 숨겨지는 몸통의 배후에 작가 유벅은 유인액으로 불러들인 작은 벌레들을 다닥다닥 붙여서 일종의 허위의 껍질을 만든다. 그것을 완성하는 그림들이 비록 해충들이지만 작은 생명체들의 희생으로 이루어졌다는 사실은 이러한 행위가 가진 이중의 폭력성을 극적으로 드러낸다.
종이는 연약한 물질이지만 그것은 작은 삼각형의 역학으로 이루어진 종합적인 구조를 통하여 바빌론처럼 번성하고도 타락한 도시 문명의 겉모습을 지탱하는 기본적인 토대를 이루기도 한다. 얇게 썬 골판지 조각들이 무수하게 쌓여서 수직과 수평, 또는 아치의 구조를 이루며 세상의 뼈대를 구성한다. 사람들은 그것들의 집합이 만드는 전체의 껍데기에만 시선을 던진다. 그 속의 제 자리에서 각각 전체를 떠받치는 작은 구조들은 죽은 듯 드러나지 않는다. 작가 유벅은 근래에 벌레 작업 계열의 연장선에서 이러한 약하면서도 강한 물질인 종이를 이용하여 지질학적인 층상구조나 거대한 문명의 껍데기를 떠받치는 역학적 구조의 속을 보여준다.
껍데기와 속은 어떻게 다른가. 속을 모를 때 겉모습으로서의 껍데기는 그저 아름답게만 보인다. 그것이 벌레의 사체나 유약한 종이들로 이루어졌음을 알게 된 뒤에도 껍데기가 이루는 이미지인 풍경은 달라지지 않는다. 그러나 그것을 이루고 있는 것이 무엇인가를 알고 난 뒤의 풍경은 시각적 환영을 넘어서 다른 것을 보여준다. 아름다움이 타자의 희생을 딛고 있고, 강성한 문명이 연약한 물질들의 토대 위에 서 있음을 보게 될 때, 이미지의 의미는 시각적 장막 너머에, 시각적 껍데기의 안쪽에 있다. 작가 유벅은 이러한 이미지의 이중성을 캐내기 위하여 보는 이의 불편한 시선을 과감하게 돌파한다. 보기에 불편하다는 것, 그것은 생각하게 하는 이미지의 힘이다.
서길헌(미술비평, 조형예술학박사)
The Shell & Duality of the Image
Yu Buck’s World
The images that sometimes deceive our eyes are illusions created by the gathering of little things. People tend to consider only outward appearances, only seeing what they want to see. In these cases, what we see is simply the ‘shell’ of things. The small details – which comprise the backbones of the things around us, making up the big picture – are often trivial, insignificant. Pests – ephemeral beings which seem to live for mere moments, disappearing promptly before the human eye, and which appear to be created solely to harm humans – have their own reasons to appear in this world. The idea that their existence is short, trivial, even harmful is a judgment based on human standards, on the human viewpoint. On Earth, humans claim to be the center of everything, a mindset sparked by the process of civilization. However, the pillars of civilization are kept upright by the gathering of the souls of small beings, beings who seem to have vanished – just like ephemera.
Insects that fly to see the light form the shadow of the image. The fleeting death of flying insects is reversed, just like the image of the Savior promising salvation. In the salvation bestowed upon the corpses of small creatures, the violence of temptation towards death is hidden. The meaning contained in the image is independent of the will of these minute pests. The image of the Savior created by the work is a derivation of the artist’s will, meticulously calculated beginning at the time the artist pours the thick liquid on paper. At the intersection between the artist’s will and the insect’s instinct, the face of the Savior wearing a crown of thorns appears. The process of crafting the image of the savior, as formed by the small corpses, is antithetical to the meaning held within the image. For artist Yu Buck, this image implies the duality of the image as the shell wrapped around the world.
On seeing the light, insects fly to the window but are caught in a mesh-like trap in the air, sacrificing themselves to become a de facto landscape. The light that entices insects turns into gates of light that they attempted to enter, only to become corpses in a landscape that projects the ridges of the mountains in the distance. The shining light is a death trap for living insects. An early image was a replication: a statue of a deceased person’s face, made of wax to be used at funerals. It was an image of the dead made to replace them. In this, the image was both a proxy and a medium. In Yu Buck's work, the corpses of insects become images themselves, instead of existing through a medium, such that death becomes a sign of death. Light is an image that promises life. Instead to the insects here, light is a death trap. These little beings saw the light and ran to them, falling into the trap of the image. For them, light is the way of life and the way of death. Life is completed through death. Thus, the light becomes the trap of the image. It is no coincidence that the image that was created is of the Savior saving the world through his own sacrifice. This makes the piece a double entendre of sorts, allowing the artist to reveal the paradoxical nature of images.
Image is death. In this, what the image points to is the original. When the image that Baudrillard defined as a characteristic of modernity becomes the original, these images take on their own status. In Yu Buck's work, the dead insects are not a sign indicating another abstract death, but a symbol, an image indicating their own death. Nonetheless, their death signals yet another death – that of the landscape. One’s own death occurs within the 'big picture'. The landscape is dead for it has been cut to fit the human eye. Removed from nature, it dies, living on only in the human consciousness. In this, the artist seeks to showcase the potential of human violence to generate a sense of beauty overlaying false consciousness. Damien Hirst, for one, used dying butterflies in his work to spark controversy over bioethics. Even though the Yu Buck may face the same dilemma, he actively uses these antinomies to expose the violence and duality that humans conceal under the pretext of beauty.
Art history, which has been represented by Western art history up until the modern era, sought to craft a visual shell around a flat surface. It chronicles the history of deception. What constitutes the artwork it examines, after all, is nothing but a mass of paint, some of which are made by crushing the shells of certain insects. Art history – which has dealt with the evolution of aesthetic consciousness from the very beginning – might just have been a history of attaining a visual shell that lies close to perfection.
In a world of feeble meat-eating, people are armed with menacing shells in order to be the eaters themselves, or at least to not be eaten. Since tattoos are, to an extent, socially taboo, those who adorn them on their bodies tend to choose a limited area usually covered with clothes. As such, the tattoos tend to not be exposed. However, the artist disguises himself behind alter ego by boldly engraving a covert yet rebellious and self-deprecating picture in the area hidden by his clothes. Around the torso hidden under the clothes, the artist Yubuck creates a kind of false shell by attaching small insects that are brought in with lure. The fact that the paintings that complete it were made at the expense of small creatures, even though they were pests, dramatically reveal the double violence of this act.
Although paper is a fragile material, it forms the foundations of prosperous and fallen urban civilizations – like Babylon – through its comprehensive structure, composed of minute triangular dynamics. Countless pieces of finely sliced cardboard are layered to form arches and constitute the framework of the world. People only pay attention to the shell of the whole aggregation. In this position, the small structures supporting the whole do not appear dead. As an extension to his recent work involving insects, artist Yu Buck uses paper – a tenuous yet sturdy material – to exhibit the insides of a layered geological or mechanical structure that supports the shell of a massive civilization.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shell and its contents? When you are unaware of the insides, the outer shell appears beautiful. Even after realizing its composition – of insect corpses and soft paper – the landscape, the image of the shell, does not change. However, this very realization drives the landscape past the visual illusion, revealing something else. When we see beauty at the expense of others, a strong civilization standing on the foundation of fragile bodies, the meaning of the image moves beyond the visual veil, inside the visual shell. Artist Yu Buck boldly breaks through the viewer's uncomfortable gaze to uncover the duality of this image. What is uncomfortable to look at is the power of an image that makes you think.
Seo Gil-heon (Art Criticism, Doctor of Formative Arts)
유 벅 YU BUCK
추계예술대학 서양화과 졸업
프랑스 파리 8대학 조형예술과 졸업
2000 올해 20인의 전시작가 선정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올해 한국미술 소개작가 선정
주요 개인전
런기스 고기공장 영상 프로젝트
반 호에크 갤러리
파스칼 갤러리, 벵센느 숲 프로젝트
토탈 미술관
성곡 미술관
서산 문화센터
일현 미술관
중랑천 영상 프로젝트(의정부 능골교)
삼탄 아트 마인 설치 프로젝트
주요 그룹전
광주 디자인 비엔날레 및 세계수영선수권대회 특별전
2018 PAF 파리(바스티유,파리)
아트 프로젝트 울산, 금강 자연 미술 비엔날레 큐브전(공주)
빛과 파라다이스전 프로젝트 (양평 미술관)
자하문 문화예술축제(서울)
유럽 청년작가 종이작업전 (파리 폴 리카르공간)
장흥 물축제 설치 프로젝트(장흥)
청주 공예 비엔날레 기업 미디어 지원(청주)
강정 대구 현대 미술제(대구),
유럽 국제 미디어 아트전(브룩셀)
프랑스 포리 국제 야외 설치 초대전(생 저멘 엉 레. 프랑스)
김환기 국제 미술제 (신안,목포)
아트 인 슈퍼스타전(서울)
YU BUCK
Graduated from Chugye University of Arts, Department of Western Painting
Graduated from the Department of Fine Arts, University of Paris 8, France
Selected as an exhibition artist by Korea CUlture and Arts Committee this year
Selected as an artist introducing Korean art this year
Major Solo Exhibitions
Rungis Meat Factory Video Project
Van Hoek Gallery
Pascal Gallery, Vincennes Forest Project
Total Art Museum
Sungkok Art Museum
Seosan Cultural Center
Ilhyeon Art Museum
Jungnangcheon Video Project (Uijeongbu Neunggol Bridge)
Samtan Art Mine Installation Project
Major Group Exhibitions
Gwangju Design Biennale and World Swimming Championships Special Exhibition (Gwangju)
2018 PAF Paris (Bastille, Paris)
Art Project Ulsan, Geumgang Nature Art Biennale Cube Exhibition (Gongju)
Light and Paradise Exhibition Project (Yangpyeong Museum of Art)
Jahamun Culture and Arts Festival (Seoul)
European Young Artist Paperwork Exhibition (Paul Ricard Space, Paris)
Jangheung Water Festival Installation Project (Jangheung)
Cheongju Craft Biennale Corporate Media Support (Cheongju)
Gangjeong Daegu Contemporary Art Festival (Daegu),
Europe International Media Art Exhibition (Brooksell)
Invitational Exhibition of International Outdoor Installation in Pori, France (Saint-Germain-en-Les, France)
Kim Whanki International Art Festival (Shinan, Mokpo)
Art in Superstar Exhibition (Seoul)
<오시는 길>
<Access>
Bình luậ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