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러리 내일은 2022년 9월 16일 금요일부터 9월 28일 수요일까지 스테파니아 카로치니 갤러리와 협업하여 10명의 작가가 참여하는 '인간의 손길 (The Human Touch)'이라는 주제의 전시를 선보인다. 참여작가는 밀레나 바베리스 (이탈리아), 로사스피나 버스카리노 (이탈리아), 스테파니아 카로치니 (이탈리아), 치바 켄타로 (일본), 아크시타 간디 (인도), 헨리 푸일론 (벨기에), 피아 킨트루프 (독일), 황부용 (한국), 캐롤라인 하셈베메테 (캐나다), 마르첼로 마젤라 (이탈리아)이다. 작가들은 전통적인 표현방식에서 벗어나 서로 다른 매체와 기법을 통해 인터랙티브 아트(interactive art)의 형태로 '인간적인 느낌'의 개념을 탐구한다.
이 전시의 주제에는 서로 다른 접근법이 있는데, 인류학적 합성의 결과물인 가상의 인간에 관한 이야기와 인간이 "방랑자"로서 끊임없이 진리를 찾는 것, 그리고 변혁과 자신의 관점을 표현하는 특권적인 자리로서의 인간의 신체를 논하고자 한다.
Akshita Gandhi , "Ummeed", 90 x 70 cm, Re worked photograph on Matt photo paper, 2017
Caroline Hachem – Vermette, Cities of Monsters and Superhumans, 120 x 120cm, acrylic on canvas, 2021
Henry Pouillon, ombres-blanches, P20_HIGHRES, 18 x 18cm, oil on paper, 2021
Kentaro Chiba, Life Scroll, 42 x 2000cm, computer printing on scroll paper, 1991-2021
Marcello Mazzella, alchemy, 40 (dia) x 20 cm, rotary projector for hologram, video projection, self-portrait with digital effects, 2022
Milena Barberis, blue-eyed girl 2, 60 x 60cm, digital print, 2016
Pia Kintrup, the human touch_No 2, 42 x 30cm, Series No.2 Archival Print, Aluminium Frame, anthracite, 2022
Rosaspina Buscarino, Daedalus 1,2,3, 100 x 240cm, photograph and oil on canvas, 2019
Stefania Carrozzini, Heart in Bloom, 60 x 50cm, Digital painitng printed on fine art paper, 2022
Buyong Hwang, Resurrection 21-108, 90.9 x 72.7cm, 42 cm x 30 cm, 2022 Edition: 5 + 1 AP 2021
이 프로젝트는 모든 분야에서 모호한 유혹을 넘어 인공적 차원과 관계를 맺고 있는 우리의 삶의 방식에 대해 고찰하려는 의도로 탄생했다. 현대 세계에서 이러한 감정을 갖는 것은 우리를 인간으로 만드는 것이다. 이번 전시는 개방과 한계의 너머에서 우리를 인간으로 만드는 운명과 오랜 시간 주된 흐름과 정치적으로 올바른 비전에 적응하지 못한 예술의 미래에 대해 질문하려는 시도이다.
예술은 발전의 가능성이 무궁무진한 자기장과도 같아서 인간이라는 종이 다른 종과는 차별성을 갖게 만들고 우리가 귀한 가치를 추구할
수 있게 한다. 자연적인 삶과 인공적인 삶의 불확실하고 애매한 관계 속에서 새로운 감각적 규칙과 세계가 열리면 기술의 한계와 문제가 초래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현상이 단순히 목적이 아니라 수단이기를 바란다.
《The human touch》는 인간 본성의 존재론적 의미와 관계적 경험을 종합적으로 다루기 때문에 정체성을 상징한다. 현대적 관점에서 우리는 가치관의 변화와 반전을 목격하고 있다. 트랜스휴머니즘은 우리가 "어떻게" 개선되어야 할지를 상상하는 기술과학적, 기술 관료적 비전을 제공한다. 이러한 관점은 과학에 대한 미신적인 구원의 믿음과 인간의 본성(우리의 연약함, 죽음, 자아 인식 그리고 우리가 무엇인지가 아닌 누구인지에 대한 구체적인 감각)에 대한 추상적 경멸감에 의해 뒷받침된다.
생산의 부속물인 기술 장치는 인간의 본성을 주체에서 대상으로 바꾸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러나 인간은 오로지 생산과 소비만을 위해 만들어진 것이 아니다. 트랜스휴머니즘은 자연의 정체성과 존재론적 특수성을 침해하며, 한계를 부정하고 존재의 상품화를 프로그래밍하는 인류학적 공학에 의존한다.
이 전시회가 묻고자 하는 질문과 의문이 너무나 많다. 그리고 다시 말하지만, 점점 만연해지는 디지털화가 우리를 인간으로 구별하는 우리의 기본적인 욕구로부터 멀어지게 만들고 있는 것일까? 우리는 기술의 성장뿐만 아니라 인지적, 윤리적, 행동적, 관계적 그리고 감정적 변화의 기하급수적인 성장을 목격하고 있다. 인간의 활동이 기술에 의해 대체될 수 있는 곳에서, 인간의 창조와 적응의 놀라운 능력, 감정 지능과 같은 인간의 본질은 발견되고 보존되어야 한다. 그런 의미에서 인간과 변화하는 세계 사이의 대화를 다시 정립하는 것이 예술의 과제이다.
'인간의 손길 (The Human Touch)' 는 2022년 5월 이탈리아 베네치아 도시의 주데카 597번지에 있는 스테파니아 카로치니 갤러리에서 먼저 선보였다.
스테파니아 카로치니
Naeil Gallery, in collaboration with Stefania Carrozzini Gallery, is pleased to present the exhibition “The Human Touch” in which ten artists participate: Milena Barberis, Rosaspina Buscarino, Stefania Carrozzini, Kentaro Chiba, Ahshita Ghandi, Henry Pouillon, Pia Kintrup, Buyong Kwang, Caroline Hachem – Vermette, Marcello Mazzella. The artists, through different media and technique, investigate the concept of "feeling human" passing from imagine of human to mutant body, from more traditional forms of expression to interactive art.
Different approaches to the theme are almost an anthropological synthesis between phantasmagoric narratives of an imaginary human story, human beings "wayfarers" perpetually in search of truth, and the body as a privileged seat for expressing transformation and prospects for becoming.
This project was born from the desire to bring to light reflections on our way of living the relationship with the artificial dimension, in every sphere and beyond any obscurantist temptation. Feeling about this is defined as "Human" in the contemporary world, between openings and limits, in an attempt to ask questions about the fate of what makes us human and about the future of art that hasn't adapted to the mainstream and the politically correct vision for too long. dominant time.
Art is a magnetic field with great potential for development, where it is possible to trace that unicum that makes us so different from other species. The opening to new sensory grammars and new worlds, between the uncertainty and ambiguit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natural and artificial life, poses the problem of the limit and use of technology, hoping that this is a means and not an end.
The human touch is the emblem of identity because it synthesizes the relational experience with the ontological meaning of human nature. From a contemporary perspective we are witnessing a metamorphosis and a reversal of values. Transhumanism offers a technical-scientific and technocratic vision that imagines the "how" we should improve. This perspective is supported by a superstitious belief in science as salvation (by axiom) and by an abstract contempt for our human nature: our frailty, our mortality, our sentience, our self-awareness, and our embodied sense of "Who" we are (distinct from "what" we are).
The technical apparatus aspires to reshape human nature as an appendix to production, from subject to object, but the human being is not made only to produce and consume. Transhumanism violates the identity of nature and its ontological specificities, trusting in an anthropological engineering that has in its program the negation of the limit and the commodification of being as its aim.
So many are the questions and doubts that this exhibition wants to ask. And again: will the increasingly pervasive digitization lead to a detachment from our basic needs, which distinguish us as human beings? We are witnessing an exponential growth of technological skills, but also cognitive, ethical, behavioral and relational, as well as emotional transformations. Where human activities can be replaced by technology, the essence of humanity must be found and preserved, its incredible ability to invent and adapt, its emotional intelligence. In this sense, it is the task of art to re-establish the dialogue between human beings and changing worlds in the making.
“The Human Touch” was presented in Venice, Italy, in May 2022 at Stefania Carrozzini Gallery, Giudecca 597.
서울아트가이드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