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SMOS
천지 가운데 살고 있는 우리는 보이는 세계와 보이지 않는 세계로 이루어진 우주 속에서 살아가고 있다, 이러한 보이는 육의세계를 너머 보이지 않는 영의세계를 시각화 하고자 하였다.
이는 만물의 근원과 원리, 보편적 질서에 대한 정신적 세계를 미적인 감성으로 형상화 하고
싶었다.
이것은 나의 존재에 대한 자각으로부터 시작 되었다. 그동안 나의 관심이 되는 주제는 우주와 인간의 관계를 탐구하는 가운데 ‘자아와 세계와의 만남’, ‘천지’, ‘생명체들의 관계’ 등이었다.
우주 안에 살고 있는 생명체들은 서로 연결된 관계로서 우주생명의 에너지와 기운, 생기를 의미하는 생명줄로 연결 되어 있는데 그중에서도 아름다운 생명체가 있다. 아름다운 생명체 즉 보석같은 우리를 ‘꽃’이나 ‘별’로 상징화하여 표현하였다.
최근에는 우주적 관점에서 나의 본질 및 정체성을 찾는 가운데 ‘우주’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부분 이면서 전체이고 전체 이면서 부분인 우주적 특성을 화폭에 담고자 하였다.
‘인간’인 소우주와 ‘우주’인 대우주와의 관계 속에서, 마음과 태양이 하나 되는 또한 천지와 사람이 하나 되는, 우주를 품은 그릇을 생각하며 붓을 들어본다.
표현기법으로는 마티에르를 살리기 위하여 한지를 사용하기도 하였으며 아크릴 물감 및 여러재료를 사용하였다.
작가노트
자아와 우주의 근원을 찾아가기
-이상복의 회화
서길헌(조형예술학박사)
작가 이상복은 어릴 때부터 무한히 펼쳐진 하늘에 대해 많은 궁금증을 품고 있었다. 그러한 흥미와 호기심으로 그녀는 때로 천문대를 찾아가 밤하늘에 총총히 빛나는 머나먼 천체의 별들을 자세히 관찰하기도 하며 우주에 관한 관심의 끈을 줄기차게 이어왔다. 그렇게 그녀를 매혹했던 ‘커다란 우주’의 무한 공간은 작가로서의 그녀의 그림 안으로 고스란히 들어와 각각의 구체적인 ‘작은 우주’로 형상화되었다. 그녀는 자신을 둘러싼 우주에 대한 수많은 의문으로 대학 때는 잠시 서양철학에 관심을 가져보기도 했지만, 결국 서구의 합리적인 세계관보다 동양철학의 근원적인 사고방식이 자신이 생각하고 꿈꾸며 접해온 우주에 더 가깝다는 사실을 깨닫고 이에 바탕을 둔 그림 작업에 매진해왔다.
자신을 둘러싸고 무한히 펼쳐진 우주와의 만남은 젊을 때부터 그녀에게 ‘나는 누구인가’라는 성찰의 하나로서 그림을 통해 자아의 근원에 이르는 빛으로서 제시되었다. 이 빛을 따라 우주는 다양한 관계를 낳는 만남의 통로로 다가왔고, 만남은 각자의 요소를 서로 나누고 공유하여 세계를 상호작용으로 얽히고설킨 하나의 거대한 우주로 보이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여기에는 ‘나’라는 그녀 자신의 자아 또한 커다란 전체를 구성하는 소우주의 하나로 포함되어 참가하고 있다. 따라서 우주는 이미 ‘나’와 하나였다. 이러한 각성은 그녀가 화가로서 세상을 바라보고 느끼며 살아오는 가운데 스스로 터득하고 공감해온 동양사상의 요체이기도 하고, 초기 작업에서부터 외국에 나가 작업을 하는 동안에도 그림의 강한 동기가 되었으며 이후로도 그녀의 모든 작품의 근원을 이루고 있는 우주의 생명력을 성찰하는 주제가 되어주었다.
세계를 바라보는 이러한 성찰적 주제는 이상복의 작품에 다양한 특성의 여러 재료를 통해 개별적인 성격을 가진 개체들의 밀집과 분산으로 구체화하고 있다. 무한 공간을 가득 채우고 있는 각기 서로 다른 점처럼 존재하는 생명체들의 다양한 관계들로 이루어지는 우주를 구현하는 그녀의 그림에 나타나는 원형적 형질 세포들끼리의 연쇄적인 관계를 형성하는 무수한 선들은 보이지 않는 세계를 서로 연결해 생기를 불어넣는 생명줄의 역할을 한다. 생명줄은 화면에 분포된 각각 크고 작은 독립된 개체들을 하나의 세계로 이어주어 화면을 빈틈없는 관계들로 짜인 장엄한 우주의 은하처럼 모든 요소가 따로 부유하면서도 하나의 덩어리로 응집된 채 움직이게 한다. 거기에 보석같이 빛나며 살아 숨 쉬는 응결체들을 작가는 아름다운 ‘꽃’이나 ‘별’로 상징한다. 다양한 조형요소들의 유기적인 어울림 속에서 각각 하나의 점이자 뚜렷한 생명체로서의 소우주인 꽃이나 별들은 커다란 우주 안에서 또 다른 풍부한 세계를 품고 있는 서로 다른 우주들과 끊임없이 각자의 생명력을 주고받는다. 화면의 바탕은 낱낱이 겹쳐진 점들의 밀도 있는 집합으로 이루어져, 재료의 질감이 종합적으로 긴밀하게 엮이는 표현을 통해 우주 안의 모든 원소끼리의 통섭적인 결속으로 구체화한다.
작가가 캔버스와 함께 바탕으로 주로 사용하는 한지는 촘촘하고 질기게 엉킨 미세한 섬유질의 구조를 통해 그 자체로 이미 하나의 유기적인 세계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재료는 모든 질료가 서로 긴밀하게 연결되는 살아있는 물성을 통해 각자의 요소를 서로 주고받는다. 닥나무 껍질에서 얻은 한지의 식물성 섬유조직은 스스로 호흡하는 생명력으로 수성 아크릴 물감들을 속속들이 받아들여 색의 효과들이 표면에만 피상적으로 머물러 있지 않고 화면의 안으로 깊이 스며들게 한다. 이렇듯 그녀는 한지를 통해 모세관과 같은 가느다란 선을 따라 재료들끼리 서로 심도 있게 삼투하는 식물적 특성을 수용하여 화면을 끊임없이 생장을 지속하는 생태학적 우주 공간으로 바꿔놓는다.
그녀가 구성하는 화면은 이러한 재료의 질감이 밖으로 드러내는 올록볼록한 줄기들로 조밀하게 짜인 밀도 있고 촉각적인 표면을 구축하는데, 한지가 구현하는 이러한 질감들은 이상복의 작업을 단순히 개념적인 차원에 머물지 않고 끊임없이 ‘숨 쉬는’ 생명력을 가진 우주 자체로서 구체적이고 살아있는 또 하나의 개별적인 우주로 만든다. 또한, 아크릴의 미디움에 커피 분말이나 반짝이 가루, 또는 미세한 모래 등을 적당히 섞어 넣어 평면 공간에 더욱 깊이 있는 시각적 차원을 부여한 화면은 갖가지 형상과 표정의 행성들이 생명체로 떠 있는 그림의 공간을 입체적이면서도 더욱 복합적인 은하로 보이게 한다. 그래서 그녀의 화면은 초신성들이 이루는 저 깊고 먼 은하계의 근원으로부터 발산하는 듯한 빛으로 가득 찬 대우주가 된다. 이러한 과정은 모두 작가가 어릴 때부터 빠져들었던 먼 우주와의 새로운 만남을 지속하는 일이며, 홀로 고립된 자아의 테두리를 벗어나 진정한 자아와 우주의 생명력을 찾아 근원에 이르고자 하는 작업이다. 삶을 통해 한결같이 이어온 그녀의 작업은 작가의 자아와 우주의 본질에 대한 깊이 있는 탐구의 여정을 뚜렷하게 보여주고 있다.
이상복 (Lee Sangbok)
홍익대학교 서양화과 및 동대학원 회화과 졸업(1983,1992)
미국 일리노이 주립대학교 미술대학원 회화과 수학(1993-1994)
개인전 21회 (서울,미국-뉴욕,워싱턴D.C.,맥클린VA,베데스다MD,일본-히로시마)
아트페어 및 주요 단체전
Contempopary Istanbul(이스탄불,터키), Beijing Art Expo(북경,중국),
KIAF ART Seoul(코엑스,서울), Naw&Future(후쿠오카 아시안 미술관, 일본),
Asia Contemporary Art Show(홍콩), Singapore International 아트페어(싱가포르)
한국현대미술전(타슈켄트 시립미술관,우즈베키스탄),Philgrim Group 초대전(ab갤러리,콩세유갤러리,서울)
수상: 3.1운동 100주년 기념우표 대전(국회 문화체육관광 위원장상)
일본 오사카공모전 금상(일본 대판미술 평론가 협회)
대한민국 평화 공헌 대상(문화예술-서양화부문)
한중 문화 교류상(주중 한국문화원장,북경),
한국미술협회 이사장상
현재: 한국미술협회 회원, 한국여류작가협회 회원, Philgrim Group 회장,
용인대학교 겸임교수 역임
문의 02 391 5458
Comentários